이 외에도 그녀는 미국 변호사 시험을 위해 취득해야 하는 각종 자격증에 대한 예비도 할 수 있도록 해주고 미국법 강의를 500% 영어 혹은 우리나라어를 사용해 ‘소크라테스 대화법’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저명하다. 사실 이런 방식의 강의는 국내외에서는 대부분 찾아알 수가 없다.
하지만 수강생들과 질문과 대답을 주고받으며 강의하니 인지가 훨씬 수월하고 생각하는 능력도 길러진다는 평을 한다. 특이하게 그녀의 강의에는 동기 부여의 요소가 많기 덕분에 참관하는 대부분인 직장인이 새벽 기간, 때로는 점심 식사 기한까지 짬을 내어 숙제를 전원 해온다고 된다.
“사실 미국 변호사 시험 자체가 매우 힘들다고 보기 힘듭니다. 객관식 문제는 4지선다형이라 5개를 본인 있게 제외하고 정답 동일한 2개 중 하나를 결정하는 시험이라 어느 정도 룰을 알면 그리 어렵지는 않다. 특별히 에세이도 항상 나오는 주제가 사실관계만 변형되어 나오기 때문에 고정되지 않은 시간에 이슈를 파악해서 암기한 룰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연습을 많이 끝낸다면 합격하기 절대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제일 중요해온 것이 영어 실력입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 중 대한민국에서 주입식 학습을 경험한 현대인은 유학을 오래 다녀오지 않은 이상 모국어처럼 자유자재로 언어를 구사하기 힘들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을 주력적으로 실험된다면 훨씬 대다수인 도움이 끝낸다고 봅니다.”
본인이 살아가는 사회와 공동체에 기여하고 싶다는 마음은 누구나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허나 그 실천이 무척 쉽지 않다. 본인 혼자서 가진 능력과 재산이 많으면 많을수록, 이것을 지키려는 마음이 더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영선 변호사는 본인 스스로 언급했듯 ‘작은 도발’을 통해 오히려 가는 길을 택하였다. 어떤 뜻에서는 ‘역주행’이고 전원이 가지 않는 ‘소외된 길’을 걷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녀가 펼쳐주는 기회는 새로운 변호사의 길을 꿈꾸려는 청년들에게는 너무나 나은 기회이며 매력적인 도움이 아닐 수 없다. 이영선 대표변호사는 권위잡는 변호사보다 후배 양성하는 변호사, 돈욕심보다 사회 소외 계층, 저소득층, 힘겨운 사람을 도와주는 생각으로 살고 싶다고 된다. 아직도 안산의 다문화센터 법률팀에서 사회 소외 계층들을 위해 봉사하며, 돈이 없거나 국적이 없어서 영어테스트를 못한 사람들을 위해 유료봉사를 하고 있을 것이다.
미국에서 성공한, 그러나 여전히 다수인 대한민국 변호사나 직장인들이 더 나은 길을 선택하고 저것을 통해서 한국 사회가 발전하기를 염원하는 이영선 대표변호사의 생각에 깊은 감사를 보낸다.